본문 바로가기
  1. 전시
  2. 현재전시
진행중

이강소

기간 2025-09-09 ~ 2026-02-22
장소 대구미술관 어미홀, 1전시실

















작가소개
1943  대구 출생
안성 거주 및 작업

학력
1965  서울대학교 회화과 졸업, 서울

주요 개인전
2025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 대구미술관, 대구   
        《Dwelling in Mist and Glows》, 타데우스 로팍, 파리, 프랑스 
        《煙霞(연하)로 집을 삼고 風月(풍월)로 벗을 사마》, 타데우스 로팍 서울 
2024  《이강소: 風來水面時 풍래수면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동경화랑+BTAP, 도쿄, 일본 
2023  《바람이 분다: 조각에 대하여》, 리안갤러리, 서울
2021  《몽유》, 갤러리현대, 서울
2019  《비커밍》, 팔라조카바토, 베네치아, 이탈리아
2018  《소멸》, 갤러리현대, 서울
2017   우손갤러리, 대구
2016   생테티엔근현대미술관, 생테티엔, 프랑스
2015  《날마다 깨달음을 얻다》, 일우스페이스, 서울
2012   갤러리신라, 대구
2011  《허(虗) Emptiness 11–I–1》, 대구미술관, 대구
2009  《이강소 1989–2009》, 갤러리현대, 서울
2006  《마음으로 보는 풍경: 이강소》, 아시아미술관, 니스, 프랑스
2005  《와이드 화이트 스페이스》, 화이트박스, 뉴욕, 미국
2003   우양미술관, 경주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신라갤러리, 대구
2002   팔레 데 콩그레스 드 파리, 파리, 프랑스
         갤러리 에데 세비라, 파리, 프랑스
2001   카이스갤러리, 서울
2000   도쿄갤러리, 도쿄, 일본
         갤러리 로베르 카라, 파리, 프랑스
         시공갤러리, 대구
1999   갈레리에 데 퐁세트, 니스시립미술관갤러리, 니스, 프랑스
         카이스갤러리, 서울
1997   조현화랑, 부산
1994   시공갤러리, 대구
         맥향화랑, 대구
1993   버건예술과학박물관, 퍼래머스, 미국
         헤나켄트갤러리, 뉴욕, 미국
1992   살라마–카로갤러리, 런던, 영국
         헤나켄트갤러리, 뉴욕, 미국
         맥향화랑, 대구
1990   헤나켄트갤러리, 뉴욕, 미국
         도쿄갤러리, 도쿄, 일본    
         갤러리서미, 서울
1989   인공갤러리, 대구
1988   인공갤러리, 대구
1985   두손갤러리, 서울
1983   수화랑, 대구
1981   관훈갤러리, 서울
1979   무라마쓰갤러리, 도쿄, 일본
1973   명동화랑, 서울

주요 단체전
2025  《Black and Black》,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특별전, 전남도립미술관, 광양
        《2025 전남수묵비엔날레-문명의 이웃들》, 목포시,진도군,해남군 등 전남일원     
        《대구미술 1980-1989:형상의 소환》, 2025 대구포럼 IV, 대구미술관, 대구
        《2025한·중미술특별전_휴휴休休마당》, 울산시립미술관, 울산 
        《Layered Medium: We are in Open Circuits》, 마나라트 알 사디야트, 아부다비 음악예술재단, 아부다비 
2024  《끝없이 갈라지는 세계의 끝에서》,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서울 
        《차이의 미학》,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서울 
        《move, sound, image》, 그라운드서울, 서울
        《대구현대미술의 형성과 확산》, 권정호 미술관, 대구
        《섬, 사람을 잇다 - 여기, 바람이 머물다》, 박석원뉴스갤러리, 제주
        《미술관에 書: 한국 근현대 서예전》, 대만타오위엔시립미술관, 타오위안, 대만
        《흙, 회전하다》, 남원도자전시관, 남원
        《회화적 지도 읽기》, 대구미술관, 대구
        《흘러가는 바람, 불어오는 물결》, 전남도립미술관, 광양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해머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2023  《컬러풀 한국 회화-조화(調和)에서 정화(淨化)까지》, 아트스페이스3, 서울
        《한국 실험 미술 1960 - 1970년대》, 구겐하임미술관 뉴욕, 미국;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일획으로부터》, DTC 아트센터, 대전
        《어느 겨울날》, 경남도립미술관, 광양
        《회화 아닌》, 대구미술관, 대구
        《비평가 이일과 1970년대 AG그룹》, 스페이스21, 서울
        《컬러풀 한국회화-조화(調和)에서 정화(淨化)까지》, 아트스페이스3, 서울
2022  《가슴이 두근두근》, 창성동 실험실, 서울
        《수묵의 확장-동아시아특별전》, DAC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22 달성대구현대미술제: 미술의 공진화》, 강정보 디아크 광장, 대구
2021  《공명》, 호림박물관, 서울
        《시를 위한 놀이터》, 대구미술관, 대구
2020  《미술관에 書: 한국 근현대 서예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현대 HYUNDAI 50》, 갤러리현대, 서울
        《ㄱ의 순간》,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서울
2019  《비욘드라인: 디아트오브코리안라이팅》,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
        《세상에 눈뜨다: 아시아 미술과 사회 1960s–1990s》,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도쿄국립근대미술관, 도쿄, 일본; 국립싱가포르미술관, 싱가포르
2018  《현대미술사전–7 키워드》,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저항과 도전의 이단아들》, 대구미술관, 대구
2017  《리듬 인 모노크롬: 한국추상회화》, 도쿄 오페라시티 아트갤러리, 도쿄, 일본
        《사유, 창작, 공간, 노트》, 환기미술관, 서울
        《리허설: 1960년대, 70년대 한국 아방가르드 퍼포먼스 아카이브》, 주영한국문화원, 런던, 영국
        《모든 것을 기억하는 물》,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 제주
2016  《KM 9346: 한국–모비앙 9,346km》, 케르게넥미술관, 비냥, 프랑스
        《달은, 차고, 이지러진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6 부산비엔날레 프로젝트 1: 아시안 아방가르드》,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코리아 투모로우 2016: 위풍당당》, 성곡미술관, 서울
2015  《벽》,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화의 경계, 한국화의 확장》, 문화역서울 284, 서울
        《닫힌 공간 너머: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 2015》, 태화강대공원, 울산
        《한국근현대미술특별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무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4  《코리안 뷰티: 두개의 자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공명의 시간》,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사이의 경계: 한국현대미술 1970년대 그 이후》, 아라리오갤러리, 천안
        《비디오 아티스트 1978》,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3  《그리기와 쓰기의 접점에서》,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서울
        《글자, 그림이 되다》, 포스코미술관, 서울
        《김환기 탄생 100주년: 김환기를기리다》, 환기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의 궤적》, 서울대학교미술관, 서울
        《2013 대구현대미술제》,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한국 모더니즘미술의 사유》,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2012  《비거 스플래쉬: 퍼포먼스 이후의 회화》, 테이트모던, 런던, 영국
        《한국의 단색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현대회화》, 국립대만미술관, 타이중, 대만
        《2012 강정대구현대미술제: 강변 랩소디》, 대구
        《이인성미술상 수상자 특별전》, 대구미술관, 대구
2011  《텔미텔미: 한국–호주 현대미술 1976–2011》,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시드니현대미술관, 시드니, 호주
        《대구미술관 개관전》, 대구미술관, 대구
        《가을 명작산책》,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靑–비욘드 더 블루》, 갤러리현대, 서울
2010  《한국드로잉 30년 1970–2000》, 소마미술관, 서울
        《정신으로서의 선, 그 힘》, 이응노미술관, 대전
        《한국현대미술의 중심에서》, 갤러리현대, 서울
2009  《신소장품 2008》,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8  《플랫폼서울 2008》, 아트선재센터, 서울
        《한국추상회화 1958–2008》,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동방시각: 중·한 현대미술전》, 중화세기단 예술관, 베이징, 중국
2007  《제48회 옥토버 살롱: 마이크로–내러티브》, 베오그라드문화센터,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한국미술: 여백의발견》,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
        《호흡》, 남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의 행위예술 1967–2007》,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비평적시각–130여명의 작가들》, 인사아트센터, 서울
        《엘라스틱 타부: 한국현대미술전》, 쿤스트할레빈, 비엔나, 오스트리아
2005  《호남추상미술의 원류를 찾아서》, 우제길미술관, 광주
        《열정》, 성남아트센터, 성남
2004  《한국모더니즘의 전개》, 금호미술관, 서울
        《한국현대작가초대전》, 남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대구미술 다시보기》,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03  《제2회 타이틀매치: 이강소 vs 조습》, 쌈지스페이스, 서울
        《드로잉의 새로운 지평》,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백색스팩트럼: 조선백자와 한국현대미술》, 경기도자박물관, 광주
        《확장과 환원의 역학》, 한전프라자갤러리, 서울
2002  《추상미술의 이해》, 성곡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청년비엔날레 2002》,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한국현대미술가전: 영혼의 바람》, 네팔미술작가회관, 카트만두, 네팔
        《한국현대미술가》, 페루국립박물관갤러리, 리마, 페루
2001  《한국현대미술의 전개: 전환과 역동의 시대 (1960년대 중반–1970년대 중반)》,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현대미술 다시읽기 Ⅱ: 6,70년대 미술운동의 비평적 재조명》, 한원미술관, 서울
        《기초/전망》, 서울미술관, 서울
2000  《정신으로서의 평면》,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한. 일 현대미술의 단면》, 제3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한국 판화의 전개와 변모》,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스스로 자, 그러할 연》, 포스코미술관, 서울
1999  《조용한 아침의 나라》, 아시아미술관, 니스, 프랑스
        《한.일 회화 교류전》, 서울갤러리, 서울
1998  《침묵의 화가들》, 몽벨리아르미술관, 몽벨리아르, 프랑스
        《국경없는 예술》, 미트라시립미술관, 리스본, 포르투갈
1997  《접점–한. 중. 일 현대미술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1996  《한국모더니즘의 전개: 근대의 초극》, 금호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의 조망과 그 미래》, 수원대학교 고운미술관, 수원
        《그리피카 마시마》, 갈레리아 다르테, 밀라노, 이탈리아
1995  《한국현대미술》, 중국미술관, 베이징, 중국
        《국제 스튜디오 프로그램 참가작가전–자화상: 이강소, 김수자, 하용석》, 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1994  《현대미술 40년의 얼굴》, 호암갤러리, 서울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의 추상미술 1969년대 전휘의 단면》, 서남미술전시관, 서울
1993  《한국 현대미술 12인전》, 미야기현미술관, 센다이, 일본
        《한국현대미술의 4인》, 시공갤러리, 대구
        《제스퍼 존스, 김영주, 백남준, 로버트 라우센버그, 앤디 워홀, 이강소》, 헤나켄트갤러리, 뉴욕, 미국
1992  《자연과 함께》, 테이트리버풀, 리버풀, 영국
        《극동으로부터의 흐름: 한국현대미술의 양상》, 바비칸센터 콩커즈 갤러리, 런던, 영국
        《다양성과의 만남: 92 국제스튜디오 아티스트전》, 뉴욕현대미술관 P.S.1, 뉴욕, 미국
        《바스키아, 보로스키, 보스만, 이강소, 테리 윈터스》, 헤나켄트갤러리, 뉴욕, 미국
        《현대한국회화: 선묘와 표현》, 호암갤러리, 서울
1991  《한국현대회화》, 국립근대미술관, 자그레브, 유고슬라비아; 창카예브돔, 류블랴나, 슬로베니아; 아티스티쿰미술관, 사라예보,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현대미술관,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10주년기념 트라이앵글 아티스트워크샵 1991》, 수잔 렘버그 어스댄 갤러리, 베닝턴, 미국
        《한국 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Ⅱ: 환원과 확산의 시기》, 한원갤러리, 서울
        《6인전: 정창섭, 윤형근, 김창렬, 박서보, 이우환, 이강소》, 나비스갤러리, 서울
        《한국현대미술 초대전》, 우양미술관, 경주
1990  《이강소, 호리 코사이》, 샘화랑, 서울
        《1990 현대한국회화》, 호암갤러리, 서울
        《가을, 무라마쓰》, 무라마쓰갤러리, 도쿄, 일본
1989  《오늘의 작가전》, 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89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현대미술: 80년대의 정황》, 갤러리동숭아트센터, 서울
        《한국정신의 새모색, 그 가능성: 1989 한국현대회화》, 호암갤러리, 서울
1988  《한국현대미술의 오늘》, 토탈미술관, 장흥
        《한국미술의 모더니즘: 1970–1979》, 무역센터현대미술관, 서울
        《서울올림픽대회기념 한국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제2회 바다미술제, 부산
1986  《현대미술의 검증》, 백송화랑, 서울
1985  85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84  《휴먼도큐먼트 84/85》, 도쿄갤러리, 도쿄, 일본
        84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 70년대의 조류》, 타이베이시립미술관, 타이베이, 대만
1983  《한국현대미술전: 70년대 후반 하나의 양상》, 도쿄도립미술관, 일본국립현대미술관, 도쿄;
        도치기현립미술관, 우쓰노미야; 오사카국립국제미술관, 오사카; 홋카이도도립근대미술관, 삿포로; 후쿠오카시립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제4회 서울국제판화비엔날레,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에꼴드서울전 (신한성화파대전: 종이조형전)》, 스프링갤러리, 타이베이, 대만
        83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82  《현대종이조형: 한국과 일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교토시미술관, 교토; 사이타마현립근대미술관, 사이타마; 구마모토현 전통공예관, 구마모토, 일본
        《현대작가 판화 드로잉》, 관훈미술관; 명동화랑, 서울
        《한국현대판화 초대전》, 토탈미술관, 서울
1981  《코리안 드로잉 나우》, 브루클린미술관, 뉴욕, 미국
        《서울 10인의 작업》, 관훈미술관, 서울
        《한국 드로잉》, 문화예술진흥원, 서울
        《드로잉 81》,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80  《9인의 작가에 의한 한국현대 판화전》, 코마이갤러리, 도쿄, 일본
        《한국판화드로잉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국제임팩트미술제, 교토시립미술관, 교토, 일본
        아시아현대미술전, 도쿄도미술관, 도쿄; 후쿠오카시립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80년대 현대작가 36인전》, 관훈미술관, 서울
        공간판화대상전, 공간미술관, 서울
        《판화 소묘 8인 초대전》, 맥향화랑, 대구
1979  《한·중 현대판화초대전》, 신세계미술관, 서울
        《한국현대판화 & 타피스트리》, 홍콩아트센터, 홍콩
        《오늘의 방법》, 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서울·회화 15인》, 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한국현대판화가협회》, 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내일을 모색하는 작가들》, 제5회 대구현대미술제, 유진어린이회관미술관; 리화랑, 이목화랑, 시립도서관화랑, 매일화랑, 맥향화랑, 대보화랑, 대구
        《현대작가 14인 초대전》, 엘칸토미술관, 서울
1978  《한국현대미술 20년의 동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서울국제판화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이란국제문화예술제, 테헤란, 이란
        제1회 전북현대미술제, 전북예술회관, 전주
        《대구현대작가협회》, 청년작가회관, 대구
        제4회 대구현대미술제, 대구시민회관, 대구
1977  제14회 상파울루비엔날레, 상파울루, 브라질
        《한국현대미술의 단면》, 도쿄센트럴미술관, 도쿄, 일본
        《한국현대미술》, 국립역사박물관, 타이베이, 대만
        제2회 광주현대미술제, 전일미술관, 광주
        제2회 부산현대미술제, 문화시민회관화랑, 부산
        제3회 대구현대미술제, 대구시민회관전시장, 대구
1976  《국제 미술의 최신 형식들》, 제2회 시드니비엔날레, 뉴 사우스 웨일즈 미술관, 시드니, 호주
        제10회 도쿄국제판화비엔날레, 도쿄국립근대미술관, 도쿄, 일본
        《한국현대미술 8인 초대전》, 서울화랑, 서울
        《한국현대미술 7인 초대전》, 대백프라자갤러리, 대구
        《7인의 오늘》, 현대화랑, 부산
        제1회 광주현대미술제, 전일미술관, 광주
        제1회 부산현대미술제, 문화시민회관화랑, 부산
        《제11회 신체제전》, 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1975   제9회 파리비엔날레, 파리시립근대미술관, 파리, 프랑스
        《이강소·최병소전》, 대구시립도서관 갤러리, 대구
        제2회 대구현대미술제, 계명대학교 미술관, 대구
        《제10회 신체제전》, 미로화랑, 서울
        《제9회 신체제전》, 미로화랑, 서울
1975-99  《제1–4회 에꼴드서울》, 국립현대미술관; 관훈갤러리, 서울
1975-84  《제1–0회 서울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1974  《한국실험작가전》, 대백프라자갤러리, 대구
        서울비엔날레,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신체제 8회전》, 명동화랑, 서울
        《신체제 7회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제1회 대구현대미술제》, 계명대학교 미술관, 대구
1973  《한국현대미술 1957–972: 조형과 반조형》, 명동화랑, 서울
        《한국현대작가초대전》, 대백프라자갤러리, 대구
        《신체제 6회전》, 명동화랑, 서울
        《신체제 5회전》, 신세계백화점문화관, 서울
        《익스포제》, 대백프라자갤러리, 대구
1972  《제3회 A.G.전: 탈 관념의 세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72 A.G. 판화전》, 국립중앙공보관화랑, 서울
        《신체제 4회전》, 신문회관화랑, 서울
1972-79  《제1–회 앙데팡당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1  《제2회 A.G.전: 현실과 실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회화: 오늘의 한국》, 명동화랑, 서울
        《신체제 3회전》, 신문회관, 서울
        《제2회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0  《신체제 2회전》, 국립공보관, 서울
        《신체제 창립전》, 국립공보관, 서울

레지던시 
1991   트라이앵글 아티스트 워크샵, 뉴욕, 미국
1991-92   뉴욕현대미술관 P.S.1 현대미술센터, 뉴욕, 미국
1985-86   객원예술가 알바니 뉴욕주립대학교, 뉴욕, 미국

주요 수상
2002   제3회 이인성미술상, 대구
1983   제4회 서울 국제판화비엔날레 우수상, 동아일보, 국립현대미술관 주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주요 소장처
계명대학교, 대구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금호미술관, 서울
대구미술관, 대구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대구시청, 대구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부산시청, 부산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우양미술관, 경주
파라다이스시티문화재단, 인천
호암미술관, 용인
홍익대학교박물관, 서울    
라초프스키컬렉션, 댈러스, 미국
리튼파운데이션, 프랑크프루트, 독일
미에현립미술관, 미에현, 일본
베링거앵겔하임 미술 컬렉션, 앵겔하임, 독일
빅토리아앤알버트미술관, 런던, 영국
이강소
오디오 듣기

현재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만족도
자료관리 담당자
(학예연구실 :TEL.053-430-7513)
최근업데이트
2022-12-27